통영 관문인 ‘북신사거리~장대사거리’ 구간 도시계획도로 개설사업을 두고 터질게 터졌다는 목소리다. 도로 폭 확충을 위해 지난 2020년 6월 도시계획도로 실시계획 인가, 그해 10월 보상계획 공고를 했지만 행정의 미진한 사업추진으로 해당 구간 주민들의 원성이 폭발한 까닭이다.통영 관문인 ‘북신사거리~장대사거리’ 구간 도시계획도로 개설사업을 두고 터질게 터졌다는 목소리다. 도로 폭 확충을 위해 지난 2020년 6월 도시계획도로 실시계획 인가, 그해 10월 보상계획 공고를 했지만 행정의 미진한 사업추진으로 해당 구간 주민들의 원성이 폭발한 까닭이다.특히 2차선 도로를 4차선으로 확장하기 위한 보상 실시계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이 원성의 단초가 됐다.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하다보니 현재 병목현상에 따른 교통체증으로 시민·관광객들의 불편은 물론 도시계획도로 구간 건물 임대·임차인들은 생업에도 지장을 받고 있다.현재 도시계획도로 구간 중 북신사거리 방면 CU편의점에서 정착식당까지 총 10동이 보상 완료됐다. 하지만 정착식당에서 장대사거리 방면 15필지 12동의 미보상구간이 남아있다. 여기에 더해 당초 추정사업비가 146억원에서 감정평가 결과 183억원으로 약 37억원이 증가하면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상황이 이렇다보니 현재 미보상 구간의 건물 임차인을 구하기는 하늘에 별 따기, 건물에 누수 등 하자까지 발생하고 있다. 설상가상 보상이 완료된 빈 건물에는 노숙인 불법주거까지 발생하면서 안전범죄 문제로까지 확대됐다.물론 통영시가 뒷짐만 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시는 지난해 연말 미보상구간 임대인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하지만 주민들에게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행정 신뢰 문제로 격화됐다. 곧바로 주민들은 건물 곳곳에 항의성 현수막을 내걸었다. 천영기 통영시장은 연두순방에서 빠른 보상을 약속하며 주민들 달래기에 나섰고, 지난달 집행부는 주민들 대상 향후 보상계획 및 일정을 공유하면서 상황은 진화됐다.통영시는 늦었지만 ‘반쪽행정’이라는 주민들의 일침을 깊이 새기며 시급성을 따져 신뢰받는 통영교통 정책으로 화답해야 한다.주민들과의 약속을 책임감 있게 이행하는 적극행정이야말로 통영행정 신뢰 회복의 첫 걸음일 것이다.“주민들이 행정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성토를 단순히 볼멘소리로 여긴다면 미래 100년의 도시 통영 조성에도 먹구름이 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