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선임 구성을 두고 의원들이 다시 한번 격돌했다. 의장 제외 의원 전원을 예결 위원으로 선임하는 현행안에서 7명 이내로 위원을 선임하는 변경안을 두고 의원들이 의견차를 보인 것이다.통영시의회는 지난 1월 의원간담회에서 지방자치법 제64조 및 통영시의회 위원회 조례를 근거법령으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선임 구성 변경 관련 토의를 나눴다. 당시에도 일부 의원들은 변경안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현행안 유지 의사를 표명했다.오는 17일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를 앞두고 예결위원으로 각 상임위원장과 위원회별 2명(기획행정위 4명, 산건위 3명) 총 7명 위원을 선임하는 안을 간담회에서 공개했다. 면면을 살펴보면 초선 3명의 상임위원장과 조필규, 최미선 의원, 3선의 배윤주, 전병일 의원이다. 7명 중 5명이 초선의원이다. 초선 의원의 역량을 저평가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서 충분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 같은 우려를 이유로 앞선 간담회에서도 현행안을 유지하자는 반론이 제기된 것이다.실제로 이날 예결위원으로 선임된 최미선 의원은 초선으로서의 역량 부족을 들며 사의를 표했다. 반면 초선 상임위원장들은 이날 뚜렷한 의견 표명을 하지 않았다.일각에서는 예결위 구성 변경을 놓고 예산날치기를 위한 전형이라고 꼬집는다. 그도 그럴 것이 국민의힘 소속 통영시장과 더불어 일당독식 체제의 통영시의회는 견제와 균형이라는 기본 원칙이 무너진 지 오래다. 간담회에서 국민의힘 한 의원은 “외부 및 언론에서 국민의힘이 다 해먹는다는 이야기가 안 나오도록 해야 한다”고 까지 했다. 자신들의 눈에도 그렇게 비춰지는 것이다.통영시의회는 과연 시민 대표자로서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지방정부의 예산·결산 심사의 책무를 부여받고 있는 지방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구성을 두고 민주적인 절차는 배제한 모양새를 취하면서 더욱 논란에 불을 지피고 있다.제9대 통영시의회는 2022년 7월 개원 당시부터 시민들로부터 신뢰보다는 질책이 많았다. 지역민들을 대표한다는 13명의 의원들의 임기는 앞으로 1년 2개월여 남았다. 시민들로부터 4년간 의정활동의 냉혹한 성적표를 받아들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