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만 해안에 한전 송전선로 가설을 반대하는 남해읍 선소ㆍ섬호ㆍ토촌마을과 이동면 초양ㆍ광두ㆍ고모마을 이장과 주민들로 구성된 ‘남해고압선신설 반대대책위원회’(위원장 조병래 섬호마을 이장, 이하 대책위)가 한전이 해안도로변에 이미 설치해 둔 전주 151개를 조속히 뽑고 원상복구 할 수 있도록 군 행정이 노력해 줄 것을 요청하는 진정서를 최근 군청 민원실에 제출했다. 현재 이곳 해안변에는 전주만 세워진 채 대책위를 비롯한 주민들의 반대로 송전선로 설치작업이 중단된 상태다. 한전 측은 “남해군과 협조하고 한전 본사와의 협의를 거쳐 송전선로 설치의 대안을 찾고 있다”는 답변만을 남긴 채 아직까지 별다른 조치가 없다. 대책위가 지난달 7월말까지 전주를 일단 제거해 달라고 요청한 데 대해 “한전 본사와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았고 대체 선로계획이 세워지지 않았으니 조금 더 기다려 달라”고 답변을 했다고 한다. 이에 대책위는 차일피일 미루다가는 원상복구가 늦어질 수 있고 그동안 주민들의 직ㆍ간접적인 피해만 늘어날 수 있다며 남해읍 심천, 선소, 섬호, 토촌마을과 이동 초양, 광두, 고모마을 주민들 271명의 서명을 받아 1차로 전주의 ‘원상복구’를 주장하는 진정서를 제출하게 됐다. 진정서에는 “고압 송전선로 신설공사 추진 과정에서 사전 주민설명회와 주민동의 절차를 무시하고 전주부터 가설한 것은 명백히 절차를 위반한 것”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 원상복구 할 수 있도록 조치해 주기 바란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또 진정서는 “남해군 관광정책 방향에 비추어 보더라도 노량 ~ 지족 구간 해안도로에 대형 전주를 설치하는 것은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행위”라며 전주의 원상복구와 대안 검토 후 사업 설명회 개최, 주민동의 하의 사업 추진을 요구했다. 대책위 조병래 위원장은 “주민들이 이렇게 요구해도 행정편의 등 절차나 기관 간의 이해관계 문제 등으로 무한정으로 시간만 끌게 되면 결국 1차 피해는 우리 주민들만 입게 되고 관광객이 남해를 많이 찾게 되는 가을 시즌도 가까워 아름다운 해안에서 휑한 전봇대들만 보고 가게될 지도 모른다”며 “한전 측은 일단 주민들의 요구대로 전주를 제거하고 추후 절차를 지키고 대안 검토를 거쳐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바란다. 또 군은 전주의 원상복구가 조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 주길 바란다”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대책위는 진정서 제출에 이어 추이를 지켜보면서도 이달 말 피켓과 현수막, 트랙터 등을 동원하는 집회를 추진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이달 말이면 전주를 뽑아 원상복구하라고 주민들이 요구한 지 한 달이 되는 시점이다. 더 이상 미루면 주민들만 피해를 당한다”며 집단행동도 불사한다는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한전 측은 원상복구 하라는 주민들의 요구에 대해 언제, 어떤 답변을 내 놓을지, 군은 이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남해신문 이충열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