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소지역 건강격차 해소사업’이 좌초 위기에 놓였다. 정부 예산안에서 의료취약지역 주민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전액 삭감되면서 사업 중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병훈 의원실(더불어민주당)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25년 예산안에서 지역 내 소지역 건강격차 해소사업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다. 질병청은 예산 24억 원을 편성해달라고 요청했으나 기획재정부 심의 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다.지역 내 소지역 건강격차 해소사업은 상리면과 마암면의 건강격차 원인을 연구하고 지역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운영하며 격차를 줄이고 지역민의 건강을 향상하는 사업이다. 질병관리청 공모사업으로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이 사업은 3년 동안 질병관리청의 예산을 지원받아 내년까지 운영된다. 이후 4년차부터는 군비로 사업비를 확보해야 한다.고성군보건소는 건강격차 해소를 위해 상리면과 마암면에 지역협의체를 각각 구성하고, 전담인력이 수시로 지역을 방문해 지역민의 고혈압‧심뇌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에 대해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건강리더를 양성하고 마을 건강환경을 조성, 걷기 실천과 건강 홍보 캠페인 등을 진행해왔다. 특히 지역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주도형 걷기 동아리를 결성해 마을길 걷기코스를 발굴, 주민들이 걷기를 실천하고 있다. 상리면은 지난 11일 걷기대회를 개최해 주민들의 호응을 얻었다.2차년도인 올해는 인제대 산학협력단이 대조군인 고성읍과 대상지인 상리‧마암면 지역주민 1천500여 명의 건강실태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격차 원인을 규명하고, 지역사회 맞춤형 건강관리모델을 제시하는 등 사업 효과를 거두고 있다.그러나 정부 사업비가 전액 삭감되면서 사업이 축소되거나 자칫 중단될 위기에 처해있다.상리면 거주 A씨는 “자가차량이 없으면 병원 이용이 힘든데 지역 내 고령자가 많아 고혈압이나 심뇌혈관 질환자도 많고 예방사업이 꼭 필요하다”라면서 “며칠 전 걷기대회는 물론 보건소에서 수시로 혈압도 확인하는 등 성인병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됐는데 정부 지원 사업비가 전액 삭감됐다고 하니 사업이 중단될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마암면 거주 B씨는 “고령 농축산업 종사자가 많고 넓은 지역에 비해 교통편이 썩 편리하지 않은 지역에 몇 년 동안 전담 의료인력이 보건진료소에 와서 주민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예산 때문에 사업이 줄어들거나 중단되면 지역민들 입장에서는 불안하다”라면서 “정부 예산이 삭감된다고 해도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관리를 위해 군비라도 확보해 사업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고성군보건소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질병청의 예산을 지원받아 대상지역에 건강관리 전담인력과 생활지도사 등 인력을 확보해 운영할 수 있었다”라면서 “지난해에도 비슷한 상황이었으나 다행히 11월 예산이 확보되면서 올해 사업에 차질이 없었다”라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지역사회 건강수준 진단과 지역민 건강 향상을 위해 이 사업이 반드시 필요하니 정부 사업비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라면서 “만약 정부사업비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군비를 일부 확보해서라도 해당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에 대한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