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류면의 명소로 만들기 위해 추진됐던 거류산 출렁다리 사업이 경남도 투융자 심사에서 부결되면서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거류산 출렁다리 조성사업은 당초 사업비 99억 원을 들여 올해부터 내년 말까지 거류산 정상 부근 능선을 잇는 길이 400m 출렁다리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계획했다.군과 거류면민들은 거류산 일원에 출렁다리가 조성되면 거류산의 역사와 문화, 관광자원을 연계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홍보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하지만 사업 추진 초기인 올해 2월 경남도 문화재 위원회 심의에서 문화재 지정구역 내 건설 공사로 인해 경관이 저해된다는 이유로 부결됐다.이에 지난 4월에 열린 민선 8기 가시적인 성과확보를 위한 역점사업 추진 보고회에서 이상근 군수는 “문화재 구역 밖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설계를 다른 과와 협의해 문화재 심의를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해 출렁다리가 거류산의 상징이 되도록 하라”라고 주문했다.이후 군은 문화재 재심의를 위해 사업변경을 했고 재심의를 받은 결과, 보도교 부분을 수정하고 위원들에게 개별 의견을 받아 추진하는 것으로 심의는 통과했다.문화재 심의가 통과되면서 군은 사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이번엔 경남도 투융자 심사가 발목을 잡았다.앞서 군은 경남도 투융자 심사에 통과되면 전체 사업비 중 50% 정도를 국비로 확보한다는 계획이었다.하지만 경남도 투융자 심사위원회에서는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에서 고성군이 어떤 재원을 확보할 것인지 계획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는 이유로 부결한 것으로 알려졌다.군 관계자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한데 경남도 투융자 심사에서 부결되면서 예산확보가 어렵게 됐다”라며 “현재 국비 재원이나 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 문제부터 해결해야 내년에 경남도 투융자 심사도 재신청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이처럼 국비 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해당 사업은 장기간 보류되거나 사업 자체가 백지화될 수도 있다.이에 일부 거류면민들은 거류산 출렁다리가 조성되면 지역의 명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고 인근에 조성 중인 당동항 어촌뉴딜 300 사업 등과 연계해 관광객을 유치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만큼 다소 사업이 늦어지더라도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