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 중성화수술사업에 참여하는 동물병원이 수술 후 원래 포획장소가 아닌 임의의 장소에 방사해 논란이 되고 있다.A씨가 고성군청 누리집 군수에게 바란다 게시판에 올린 글에 따르면 지난 9월 23일 군청 축산과에 길고양이 TNR(중성화 수술 후 방사)사업과 포획을 요청했다. 포획된 7마리 중 두 마리는 8월경 이미 중성화수술 후 귀끝을 자르는 표식까지 완료해 방사를 요구했다. 그러나 방사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중성화수술을 진행한 5마리도 입원기간은 물론 포획된 장소에 방사하지 않고 임의의 장소에 방사했다. A씨는 해당 게시판을 통해 “수술받은 고양이를 임의로 연고 없는 산에 방사(유기)하는 행위는 동물학대”라면서 “당장 아픈 고양이들을 구조하여 원래 포획장소에 돌려놓아 주시기 바란다. 행정절차상 문제”라고 지적했다.군은 올해 길고양이 중성화사업으로 당초 1천500마리를 계획했으나 예산을 추가확보해 총 2천500마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11월 현재까지 2천421마리의 수술이 진행됐다. 중성화사업비는 1마리당 15~16만 원이 지원된다. 동물보호센터 인력 사정 상 직원이 포획하는 것이 여의치 않고 대동물을 진료하러 각 마을 현장에 나가는 수의사들이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으니 포획해 수술하면 수술비용을 보장하는 민관협동 형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A씨가 거론한 동물병원은 이번달 기준 올해 404마리의 길고양이 중성화사업을 진행, 6천만~6천500만 원의 사업비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해당 동물병원은 2020년 비글구조협회의 고발로 불법 안락사 등 동물학대가 드러난 병원과 같은 곳이다.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군내 반려동물 관련 단체에서는 해당 동물병원의 중성화수술 사업 관련 군에 정보공개청구를 하겠다는 뜻을 모으고 있다.반려동물단체 관계자는 “아무리 보호자가 특별히 없는 길고양이라도 이 사업은 포획한 자리에 수술 후 그대로 방사하는 것이 사업의 절차”라면서 “영역동물인 고양이는 원래 살던 구역을 벗어나면 경쟁에서 밀리고 도태되기 십상인데 이를 누구보다 잘 아는 수의사가 임의의 장소에 갓 수술한 고양이를 방사했다는 것은 생명을 다루는 수의사가 동물을 죽음으로 내몬 것이며, 축산과 역시 이 일의 책임 소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수의사들 사이에서도 이번 일과 관련해 우려와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군내 한 수의사는 “이미 한 차례 동물학대로 고성을 유기동물들에게 지옥 같은 곳으로 오명을 쓰게 해놓고 또다시 동물을 상대로 죽음으로 내모는 짓을 자행한다는 것이 같은 수의사로서 부끄럽다”라면서 “이런 행태는 고성군과 군민이 나아가고자 하는 동물복지에도 반하는 일일뿐더러 길고양이 중성화사업은 동물과 사람이 공존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라는 점을 수의사라면 더더욱 가슴에 새기고 사업에 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고성군청 축산과 관계자는 “민원인이 지적한대로 중성화수술 후 원래 포획장소에 방사해야 하는데 임의로 다른 지역에 방사해 중성화사업 지침을 위반한 것이 확인됐다”라면서 “해당 병원과 계약을 해지하고 올해 남은 기간 같은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게 조치했다”라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방사한 자리에 포획틀을 20개 정도 설치해두고 재포획해 원래 포획된 장소에 방사할 예정이며 7마리 중 4마리 정도 포획됐다”라면서 “내년 사업 추진 시 지침을 위반하는 경우 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등의 조항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길고양이 TNR사업은 무분별한 번식과 질병, 민원 등을 예방하고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TNR은 포획하고(Trap) 생식기관을 제거(Neuter)한 후 되돌려보내는(Return) 것으로, 개인과 단체가 길고양이를 포획해 지정 동물병원에 데려가면 수술 후 귀끝을 잘라 표시한 후 회복기간을 거쳐 방사하게 된다. 이 사업은 반드시 포획된 장소에 방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고양이 포획이 필요한 경우 군청 축산과에 신청하면 된다. 포획틀은 고성군청 축산과나 각 읍면사무소에서 대여도 가능하다.